양육비 못 받았다고요?
이제 국가가 먼저 지급해줍니다 – 2025년 양육비 선지급제 도입!
안녕하세요,
변화하는 제도 쉽게 알려드리는 혜정이에요 😊
오늘 전해드릴 소식은 양육비를 못 받고 있는 한부모가족에게 정말 반가운 제도예요.
2025년 7월 1일부터 ‘양육비 선지급제’가 본격 시행됩니다!
양육비 선지급제, 도대체 뭐예요?
기존에는요~
아이를 키우는 쪽(양육자)이 양육비를 받지 못하더라도
국가는 개입하지 않고, 민사소송이나 독촉 절차를 개인이 진행해야 했어요.
그래서 소송 비용, 시간, 감정소모까지 엄청났죠 😢
그런데 이제는!
✅ 국가가 먼저 양육비를 대신 지급하고
✅ 그 돈을 비양육자(양육비 채무자)에게 회수하는 방식으로 바뀌어요!
이 제도는 말 그대로
**"아이에겐 끊기지 않는 양육비를, 부모 간 문제는 국가지원으로 해결"**하는 방향이에요.
누가 지원받을 수 있나요? (신규 요건 정리)
양육비 선지급을 신청하려면 아래 조건 모두를 만족해야 해요👇
① 양육비 채무자가 최근 3개월간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은 경우
② 양육자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일 것
예: 2인 가구 기준 월 589만 8,987원 / 3인 가구 기준 월 753만 8,030원 이하
③ 양육비 이행 확보를 위한 절차를 마쳤거나 진행 중일 것
(예: 소송, 양육비이행관리원 요청 등)
지원 내용은요?
- 지원금액: 자녀 1인당 월 20만 원
- 지원기간: 자녀 만 18세까지
- 신청 방법:
👉 양육비이행관리원 누리집 www.childsupport.or.kr
👉 온라인 신청 또는 우편 접수 가능
이 제도가 생기면 뭐가 달라지나요?
그동안은 양육비를 못 받으면,
아이도 경제적으로 불안하고, 엄마·아빠도 정신적으로 너무 힘들었어요.
특히 비양육자 연락 끊기면, 사실상 방법이 없었죠.
하지만!
이제는 국가가 선지급 후, 비양육자에게 법적으로 강제 회수
→ 심지어 국세처럼 강제징수까지 가능하다고 하니 무시하기 힘들죠!
변화 시나리오 예시로 보기
💬 예시 1
한부모 가정 A씨, 전 배우자와 협의 이혼 후 양육비 약속 받음
하지만 6개월째 지급 안 됨
▶︎ 기존: 직접 소송하거나, 압류 등 해야 했음
▶︎ 변경 후:
① 중위소득 이하 →
② 양육비 3회 미지급 →
③ 양육비이행관리원 통해 신청
→ 자녀당 20만원 매달 지급!
→ 국가가 전 배우자에게 추후 법적 회수 진행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 2025년 7월 1일 시행
☑️ 중위소득 150% 이하만 해당
☑️ 양육비 미지급 3개월 이상일 것
☑️ 18세 미만 자녀만 지원
☑️ 신청은 양육비이행관리원에서만 가능
주의사항
⚠️ 조건 미달일 경우, 선지급 안 됨 (특히 소득 기준)
⚠️ '자녀 1명당' 월 20만 원, 둘이면 40만 원까지 가능
⚠️ 신청 후 내부 심사·절차 있음 → 바로 지급은 아님
자주 묻는 질문
Q. 자녀가 셋인데 다 받을 수 있나요?
A. 네! 자녀당 20만 원씩 최대 60만 원까지 가능해요.
Q. 양육비를 안 받는다고 말로만 한 상태인데, 신청되나요?
A. 아니요. 양육비 이행 절차가 진행 중이거나 완료된 경우만 가능합니다.
Q. 상대방이 해외에 있는 경우도 되나요?
A. 경우에 따라 다르니 **양육비이행관리원 상담센터(1644-6621)**로 문의해보세요.
마무리 한마디
한부모가족이 혼자서 아이 키우고 생계까지 책임지는 건 정말 벅찬 일이에요.
이제는 국가가 한 걸음 더 다가와서
양육비를 선지급해주고, 비양육자의 책임은 강하게 묻는 제도가 생긴 거죠!
혹시나 양육비 못 받아서 힘들었던 분들,
이제는 혼자 울지 말고 꼭 신청해보세요.
아이를 위한 권리, 제대로 지켜줄 수 있어요.
'제도,정책,복지 달라지는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사하면 못 받던 육아휴직 지원금? 7월부터 전액 지급 확정! (4) | 2025.07.23 |
---|---|
자활근로 참여자 필독! 지원금 신청하기 (8) | 2025.07.23 |
신복위 채무조정에 전기요금 포함! 단전 걱정 없는 제도 바뀐다 (2) | 2025.07.22 |
예금보호한도 1억으로 확대! 은행, 저축은행, 퇴직연금까지 적용 대상 총정리 (3) | 2025.07.22 |
2025년 7월부터 바뀌는 3단계 스트레스 DSR 제도 뭐가 달라질까? (4) | 202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