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정책,복지 달라지는변화

기술은 있는데 공장이 없다?? 혁신제품 제도가 도와 드립니다

콩누나 2025. 8. 8. 01:14
반응형

조달청 혁신제품제도 개편

안녕하세요~ 콩언니예요 😊

요즘 우리 사회, 진짜 빠르게 바뀌고 있죠? 아니, 뉴스 좀만 안 봐도 세금이며 정책이며 복지며…

뒤처지기 십상이더라구요. 그래서 오늘도 제가 꼼꼼하게 챙긴

2025년 7월부터 바뀌는 제도 소식! 특히! 기술 하나는 끝내주지만 생산은 어려운 기업들,

또는 혁신 기술은 있는데 납품 기회가 부족했던 스타트업, 소부장 기업, IT기업, 창업자 분들!

이번 제도 개편은 **정말 놓치면 손해~!😎**

바로 ‘혁신제품 제도’가 개선되면서, 기술력 있는 기업이 ‘공장 없어도’ 공공조달 시장에 참여할 수 있게 되는

대대적인 변화가 생깁니다! 그럼, 하나하나 쉽게! 정리해볼게요~

 

기존 혁신제품 제도는 어땠을까?

그동안 조달청의 혁신제품 제도는,

‘새롭고 우수한 기술’을 가진 제품을 빠르게 시장에 안착시켜주는 좋은 제도였어요.

정부가 시범구매하고, 공공기관 납품 기회를 주니까 말이죠.

하지만… 꼭 본인 회사에서 직접 생산해야 한다는 조건이 발목을 잡았죠.

기술력은 뛰어난데 공장은 없는 스타트업, R&D 기업은 납품이 어려웠던 거예요.

 

2025년 7월부터 뭐가 바뀌나요?

조달청 혁신제품제도 전격 해부

2025년 7월부터는 혁신제품 지정 및 시범구매 제도에 ‘3가지 숨은 규제개선’

적용돼요! 확~ 바뀐 부분은 아래와 같아요👇

  • ① 협업 생산 가능 기업 수 확대:
    기존엔 1개 기업만 가능하던 협업 생산 기업 수를 최대 3개사까지 확대! 공장 없어도, 기술력만 있으면 협력해서 생산하고 납품할 수 있어요.
  • ② SW 제품 지정 간소화:
    소프트웨어 기술이 들어간 물품마다 각각 혁신제품으로 따로 지정받을 필요 없이,
    기존 제품의 규격만 추가하면 자동 인정! → 예: AI 알고리즘이 들어간 제품군이 여러 개일 경우, 하나만 먼저 등록하면 OK!
  • ③ 시범구매 참여 기회 확대:
    기존엔 단가계약 체결 제품은 시범구매 참여가 어려웠는데, 이제는 단가계약 제품도 ‘해외실증 시범구매’ 참여 가능!
    또 5천만원 이하로 시범구매된 제품은 추가 신청 가능해져요.

 

어떤 기업이 대상일까요?

✅ 기술은 있지만 생산설비가 없는 R&D기업

✅ 창업 초기단계 스타트업

✅ SW융합 제품을 보유한 기업

✅ 공공조달 진입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 → 이런 기업들이 **협업 생산체계**를 통해 본격적으로 조달 시장에 들어올 수 있어요.

 

이런 점, 꼭 확인하세요!

  • 1. 협업기업 수는 최대 3개사까지 → 협약서, 역할분담 명확히!
  • 2. 기존 지정 혁신제품에 규격 추가 시 심사 간소화 → 빠르게 반영됨
  • 3. 시범구매 대상 제품이라면 단가계약 여부 확인 → 해외실증 참여 여부 체크

 

예시로 알아보는 제도 개편 효과 🎯

  • 사례1: A 스타트업은 자체 AI 기술은 있지만 생산공장이 없음. → B 생산기업과 협업해 3자 협약 체결 → 시범구매 신청 가능!
  • 사례2: 기존에 5천만원 이하로 시범구매된 C사의 제품. → 수요처 확대되면서 추가 시범구매 신청 가능!

 

자주 묻는 질문 (FAQ)

  • Q. 협업 생산은 어떻게 신청하나요?
    → 조달청 혁신장터(www.ppi.go.kr)에서 신청 가능하며, 협업기업 간 역할을 명시한 협약서를 제출해야 해요.
  • Q. 기존 혁신제품 지정 기업도 규격 추가로 인정받을 수 있나요?
    → 네! SW 기술이 공통적으로 적용된다면, 기존 제품에 ‘규격 추가’만으로 인정돼요.
  • Q. 시범구매 참여 조건은?
    → 국내 실증 외에, 해외 실증까지 확대되며, 단가계약 제품도 가능해졌어요.

 

마무리하며 💡

기술은 있지만, 공장 설비나 자금이 부족해서 늘 벽에 막히던 스타트업, R&D 중심 기업들…

이번 조달청의 **혁신제품 제도 개편**은

진짜 ‘숨은 규제개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공공조달 진입이 쉬워지면,

판매 루트는 넓어지고, 기술개발에만 더 집중할 수 있게 되니 복지처럼 체감될 수밖에요.

이제는 기술만 있다면 공공기관에도 납품 가능하니까요! 그리고 이 제도는 단순히 스타트업을 돕는 게 아니라,

국가 정책 차원에서도 미래 기술을 빠르게 시장에 안착시키려는 중요한 조치에요.

기술 보유 기업이라면, 지금 바로 조달청 혁신장터에 들어가서 제도 바뀐 내용 확인하고,

협업 가능한 생산기업도 찾아보세요!

👉 조달청 혁신장터: www.ppi.go.kr 👉 문의처: 조달청 신성장조달총괄과 ☎ 042-724-6316

앞으로도 콩언니가 정책, 세금, 복지! 뭐든 알짜 정보는 꼭! 먼저 알려드릴게요💪

그럼 다음 제도 변경 소식에서 또 만나요~

반응형